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충전할 데가 없다?”… 서울시, 전기차 충전소 2배 확대 선언! 얼마나 바뀌나?

by 인사이트스파크 2025. 5. 4.
반응형

 

 1. 전기차는 샀는데 충전할 곳이 없다면?

 

전기차 보급은 갈수록 늘고 있지만, 충전 인프라는 여전히 '속도 부족'입니다. 아파트 단지에는 충전기가 없고, 도심에서는 늘 대기. 전기차 운전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이 문제, 드디어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해결에 나섰습니다.

 

2. 전기차 급증, 인프라는 제자리?

2025년 기준 서울시 등록 전기차는 약 12만 대. 그러나 공용 충전소는 약 4,500기에 불과해, 차량 25대당 1기의 비율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족 문제는 특히 아파트, 오피스텔 등 주거지역에서 더 심각합니다. 전기차를 소유했지만 충전할 수 없는 상황이 시민 불만의 주요 원인으로 떠올랐습니다.

 

3.❗ 왜 충전 인프라가 이렇게 부족했나?

  • 공간 제약: 서울시의 고밀도 도시구조로 충전기 설치 공간 부족
  • 설치비용 부담: 건물주와 입주자 간 설치 비용 분담 갈등
  • 법·제도 미비: 설치 의무화 기준이 모호하고 권고 수준에 그침
  • 민간업체 의존: 정부나 지자체보다 민간 충전 사업자 중심 확대

 

4. 서울시의 해결책: 2026년까지 충전소 2배 확대

서울시는 2025년 5월 발표를 통해 현재 4,500기 수준의 충전기를 2026년까지 9,000기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내용 정리

  1. ① 주거지 중심 배치: 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등 실생활 밀접 지역 우선 설치
  2. ② 이동형 충전기 도입: 고정식 외에도 ‘이동형 충전기’ 확대 도입 → 설치가 어려운 소형 주택에도 가능
  3. ③ 충전소 위치 통합 플랫폼 운영: 내 위치 기반 실시간 확인 가능한 앱/웹 서비스 제공 예정
  4. ④ 민간 협력 확대: 테슬라·포스코이앤씨 등과의 협약으로 대규모 설치 추진
  5. ⑤ 공동주택 설치 의무화 추진: 일정 규모 이상 신규 공동주택에 충전기 설치 법제화 추진

 

5. 시민 입장에서 이 정책이 가지는 의미는?

이번 정책은 단순한 ‘설비 수치 확대’가 아니라, 일상 속 충전 불편 해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시민들이 직접적인 혜택을 받게 됩니다.

  • 아파트 단지에서 충전기 찾기 힘들었던 전기차 소유자
  • 오피스텔 주차장에 충전시설이 없어 외부 충전소를 이용하던 직장인
  • 장거리 운전이 잦은 고령 운전자에게는 접근성 확대가 중요

 

6.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일

  1. 1️거주지 충전기 위치 확인: 환경부 전기차 충전소 지도 이용 [https://www.ev.or.kr](https://www.ev.or.kr)
  2. 2️서울시 전기차 정책 알림 신청: 서울시 홈페이지 또는 전기차 민원포털 구독 신청
  3. 3️공동주택 주민 의견 조율: 아파트 입주자 회의에서 충전기 설치 안건 상정

 

 “지금 당신이 해야 할 고민은?”

전기차는 샀는데 충전은 어떻게 하실 건가요?
당신의 거주지 주변에 전기차 충전소는 몇 개인가요?

2026년까지 서울은 바뀝니다. 하지만 그 전에 당신이 사는 아파트엔 변화가 있을까요?
지금 위치에서 실시간으로 충전소를 확인해보시고, 부족하다면 주민들과 함께 서울시에 설치 요청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7. 서울시 전기차 충전소 설치 계획 (2025~2026년 로드맵)

구분 목표 수량 주요 설치 지역 특징
현재(2025년 5월 기준) 약 4,500기 공공기관, 주유소, 일부 공동주택 공간 제약으로 설치 속도 제한
2026년까지 목표 9,000기 이상 (2배 확대) 아파트, 오피스텔, 대형마트, 주차장 중심 주거지 중심 설치 / 이동형 충전기 도입 확대
연간 증가 계획 연평균 2,200기 설치 구별 수요조사 기반 분산 배치 자치구와 협력 추진, 민간 사업자 공동

 

8. 서울시 구별 전기차 충전소 분포 현황 (2025년 1분기 기준)

 

※ 아래 데이터는 공공+민간 통합 충전기 기준이며, 구별 총 충전기 수를 표시합니다.

자치구 설치된 충전기 수 (기준: 2025.3) 비고
강남구 540기 서울시 최다, 백화점·호텔 밀집 지역
송파구 390기 대단지 아파트 중심 확대 추진 중
서초구 370기 이동형 충전기 시범 도입 지역
마포구 290기 공동주택 신청 비율 높음
성동구 270기 친환경 산업단지와 연계
노원구 250기 대규모 단지 우선 공급 대상
강서구 240기 서울시 지원사업 활성화 구역
기타 구 150~200기 동대문·관악·중랑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

 

9. 어디에 설치될까? – 예정 지역 예시

  • 아파트 단지 300세대 이상
    → 설치 의무화 대상 확대 예정
    → 예: 송파구 가락동 일대, 강동구 고덕동, 노원구 중계동 등
  • 지하철역 인근 공영주차장
    → 접근성 높은 지역 중심 설치
    → 예: 마포구 공덕역, 동작구 이수역 등
  • 대형 마트 및 복합상업시설 주차장
    → 홈플러스, 이마트, 스타필드 등과 협약 추진
    → 예: 강서구 마곡지구,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 도시형 생활주택 밀집지역 (충전소 사각지대)
    → 이동형 충전기 중심 도입
    → 예: 관악구 신림동, 성북구 길음동

 

10. 실시간 확인 방법 (추천 사이트)

반응형